본문 바로가기
투자/투자 용어

공매도의 정의

by 나랑드77 2022. 8. 26.
반응형

공매도

공매도란?

공매도는 "가지고 있지 않은 것을 파는 것", 소유하지 않은 주식을 파는 것을 의미합니다. 주가 하락을 예상하여 빌린 주식을 매도하는 행위로 투자자는 증권사를 통해 주권을 차입하여 매수인에게 인도하여야 한다. 쉽게 말하면 일반적인 주식 매수 방법(주식을 사서 나중에 파는것) 달리, 공매도 주식을 팔고 다시 사는 것입니다. 더 낮은 가격에 다시 사면 이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더 높은 가격에 주식을 다시 사서 주식을 인도하게 되면 돈을 잃게 됩니다.

 

공매도의 종류 

공매도는 증권회사나 기관으로부터 타인의 주식, 채권 등을 빌려 매도하는 차입 공매도주식을 하나도 보유하지 않은 상태에서 미리 파는 무차입 공매도로 구분됩니다. 

 

우리나라에서 기관투자자의 차입 공매도는 1996년 9월, 외국인투자자의 차입 공매도는 1998년 7월부터 허용되었다. 무차입 공매도는 2000년 4월에 공매도한 주식이 결제가 되지 않는 상황이 발생하되면서 금지되고 있습니다.

 

공매도 금지?

공매도는 하락,공포의 장이 도래하면 경제 상황에서 위기를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금융 당국은 글로벌 경제 위기에 따라 공매도를 금지하는 정책을 시행합니다. 2008 리먼사태와, 최근 코로나 사태에 나라별로 공매도 금지를 걸었다.

 


이번 코로나 사태에서 우리나라는 다른나라와 달리 공매도 금지 기간이 상당히 길었다. 공매도 금지를 하면 하락 없이 상승만 있다고생각하는건가? 추세반전이 있다고 생각하는 건가? 

오히려 공매도가 있음으로써 거래량이 풍부해지고 변동성이 커서 주식이든 코인이든 건전한 시장을 만든다고 생각한다.  물론 돈으로 시장을 찍어누르는 것은 제외를 한다. 

반응형

댓글

공지사항